Skip to content

사람과 디지털

사람과 디지털의 교집합 속에 어우러지는 새로운 현상, 생각해보아야 할 것, 떠오르는 느낌에 대한 정리

디지털 리터러시 Digital Literacy 딜레마

디지털 리터러시는 무엇인가? 네트워크 사회에서 참여자들이 의미와 아이덴티티를 협상하는 스킬, 태도, 기질을 아우르며[3] 기술을 활용한 개인의 문법, 작문, 글쓰기,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팟캐스팅, 리믹싱,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위키피디아 : 디지털리터러시) 배우고 익혀서 알게 된 것 vs. 저절로 몸에 베인 것 Gen Z라고 불리는 세대에게 ‘소셜미디어’는, 그 훨씬… Read More »디지털 리터러시 Digital Literacy 딜레마

‘디지털 수몰민’이 된 싸이월드 세대의 상실 – 함께 생각하기 #07

[블로터] 싸이월드 끝내 폐업…지난달 문 닫았다 이젠 정말 ‘안녕’이라고 이야기해야 하는 건가, #싸이월드?! 기사 속에는 이 상실감에 사로잡힐 사람들을 가르켜 ‘디지털 수몰민’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고향을 잃어버린 것처럼 한 세대의 추억이 담긴 공간이 사라져버린 것이라는 이야기다. 디지털 기술로 이루어진 것들은 물리적… Read More »‘디지털 수몰민’이 된 싸이월드 세대의 상실 – 함께 생각하기 #07

콘텐츠 마케팅 2019 주요 논점, 그리고 성과 분석 – 함께 생각하기 #06

늘 바쁘다는 핑계로 하고 있는 일의 성과와 의미를 점검해보고, 그 정리된 내용을 이 분야에서 함께 하는 동료들과 나누는 데 게을렀습니다. 글쓰기에 서툴러진 손가락이 말을 듣지 않고, 느릿하고 귀차니즘에 사로잡힌 마음가짐 때문이라는게 정직한 변명이긴 하겠지만, 콘텐트 마케팅의 의제와 방향성에 대해서만큼은 어떻게든… Read More »콘텐츠 마케팅 2019 주요 논점, 그리고 성과 분석 – 함께 생각하기 #06

디지털 혁신이 어떻게 미디어 이용과 콘텐츠 소비를 바꾸는가? – 함께 읽기 #14

몇 해 전부터 이 주제는 숱하게 이야기되었고, 이제는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거대한 흐름이지만, 이 변화의 방향이 가리키고 있는 미래의 모습은 콘텐츠, 미디어, 광고, 엔터테인먼트 산업 종사자들에게는 근본적인 혁신을 준비할 것을 엄중히 요구하고 있다. Deloitte Digital Democracy Survey from Column Five… Read More »디지털 혁신이 어떻게 미디어 이용과 콘텐츠 소비를 바꾸는가? – 함께 읽기 #14

한 눈에 보는 기업 디지털 플랫폼 변천사 – 함께 읽기 #12

끊임없이 변해가는 커뮤니케이션 환경 속에서, 기업은 고객과 어떻게 고객가치(value proposition)를 소통하고 유의미한 마케팅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을까요? ‘인터넷’이 등장하여 기업 커뮤니케이션의 한 축을 차지하기 까지, ‘디지털’은 어떤 의미에서 다루어졌고, 중요한 시사점은 무엇이었는지 한 눈에 보기 좋게 정리해보았습니다. 기업과 브랜드의 관점에서… Read More »한 눈에 보는 기업 디지털 플랫폼 변천사 – 함께 읽기 #12

브랜드 경험 디자인(Brand Experience Design)을 지지하며 – 함께 읽기 #11

몇년 전인가 …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해 ‘브랜드 경험 디자인‘이라는 용어를 쓰고 싶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 내용을 어떻게 채워야 할지 자신이 없기도 했고, ‘경험 디자인’이라고 하면 UX 디자인처럼 디자인 영역에 속하는 ‘유용하고 심미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창조적 활동’으로 여겨질 것 같아… Read More »브랜드 경험 디자인(Brand Experience Design)을 지지하며 – 함께 읽기 #11

디지털 마케팅 트렌드 2015 : 10개의 키워드로 읽기 – 함께 읽기 #10

2015년이 시작되며 이러저러한 변화의 방향을 가늠하고, 올 한해를 전망해보는 예측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미래를 읽는 일은 늘 어렵고 수 많은 오류의 가능성을 각오해야 하는 일이지만, 현재를 정리해본다는 마음가짐으로 이곳 저곳에서 등장하는 중요한 ‘신호’들을 포착하고 그 의미를 올바로 이해하려는 노력으로 삼으려 합니다.… Read More »디지털 마케팅 트렌드 2015 : 10개의 키워드로 읽기 – 함께 읽기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