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사람과 디지털

사람과 디지털의 교집합 속에 어우러지는 새로운 현상, 생각해보아야 할 것, 떠오르는 느낌에 대한 정리

[사례] 언론의 선정적 시각이 어떻게 사실을 달리 보이게 하는가?!

언론이 사회현상을 선정적으로 다루어 “잘못된 생각의 틀”을 씌워버리는 전형적인 사례! 아동학대는 ‘계모’가 하는 게 아니라 친부모가 일으키는 경우가 훨씬 많다. 2014년 3월 16일 일요일, 한국의 풍경 허핑턴포스트코리아 , huffingtonpost.kr 광화문 세종대로에서는 보행전용거리 행사가 열렸다. 세종문화회관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창당준비위원회 발기인 대회가 있었고, 명동에서는 정몽준 의원이 시민들과 만났다. 여의도에서는 김황식 전 총리가 서울시장 출마 선언을, 제주도에서는 원희룡 전 의원이 제주도지사 출마 선언을 했다. 날씨는 따뜻했다. 외투를 벗고 걷는 사람들이 많았다. 하지만 따뜻한 날씨도 추운 … 폭력에 방치된 사람들을 보호하고 지켜야야할 법적, 제도적 장치가 제 기능을 못하는 문제가 우선이다. 언론이란 이런 제도적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함께 모색하도록 생각의 가능성을 열고, 다양한 길을 찾도록 촉구하는… 계속 읽기 »[사례] 언론의 선정적 시각이 어떻게 사실을 달리 보이게 하는가?!

Digital Communication Trend 2014

[공유]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트렌드 2014 – 논제와 전망

새로운 한 해의 시작에 맞춰 함께 생각해볼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논점과 전망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교육과 강의 용도로 만들어진 문서이니 만큼, 내용에 있어 설명이 불충분하거나 좀더 추가적인 자료가 필요한 부분들이 많이 눈에 띄입니다.  시간을 조금 더 할애 하여 이 논점을 각각 독립된 하나의 포스팅으로 각 12개 정도로 분리하여 연재를 해보려고 합니다. 각 주제에 대해 질문, 반론, 추가 의견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듣고, 성실하게 제 생각을 덧붙여 발전시켜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트렌드 2014 공유 from Andrew Yim * 위 자료에 쓰인 이미지와 저작물의 권리는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교육과 강의 목적으로 출처를 생략한 경우가 있습니다. 해당 원저작자의 요청이 있을 시 출처를 다시… 계속 읽기 »[공유]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트렌드 2014 – 논제와 전망

[소통과 전망] #2. 기술혁신과 일상의 변화, 그리고 브랜드와의 관계 – Leo Burnett

Leo Burnett이 지난 해 10월에 SlideShare에 공유한 “The Future of Advertising: How brands can embrace miraculous new technologies to change our daily lives“라는 자료가 새삼 눈에 들어와 찬찬히 살펴봤습니다. The Future of Advertising: How brands can embrace miraculous new technologies to change our daily lives from Leo Burnett The Future of Advertising: How brands can embrace miraculous new technologies to change our daily lives from Leo Burnett   Leo Burnett은 기술이 변화시키는 일상을 3가지 상황을 상상하여 우리가 경험하게 될 새로운 생활상을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1. Leo Burnett and Contagious: Wildfire / Full of Tomorrow – Scenario 1 :: Haptic Experiences… 계속 읽기 »[소통과 전망] #2. 기술혁신과 일상의 변화, 그리고 브랜드와의 관계 – Leo Burnett

[소통과 전망] #1. 2014년 소셜 미디어 부문에 대한 전망 (1) – meltwater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면 각 부문 별로 이러저러한 전망을 예견하는 이야기들이 쏟아져나옵니다. 늘 새로운 변화가 요동치는 디지털 영역, 소셜 미디어 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각종 기관, 컨설팅 사업자와 조사 업체, 구루와 블로거들이 앞다퉈 올해 주목해야 할 변화의 목록을 뽑고 있습니다. 이 전망이 얼마나 들어맞을지는 장담하긴 어렵지만, 각각의 시각을 찬찬히 살펴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는 일을 게을리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meltwater의 2014년 소셜 미디어 트렌드 전망을 간략하게 요약해보면 이렇습니다.  *source : “6 Social Media Trends for 2014 that You Need to Understand” http://bit.ly/19Tc26P 이미지를 위한 서비스 개선과 활용의 증대 Instagram, Snapchat 등의 활용 지속 Video 활용 증가 Facebook sponsored video, Vine, Instagram… 계속 읽기 »[소통과 전망] #1. 2014년 소셜 미디어 부문에 대한 전망 (1) – meltwater

[Infographic] 한눈에 보는 올 해의 소셜 미디어 이슈 2013

올 한 해 각 달마다 소셜 미디어와 관련된 중요 사건들을 한 눈에 정리해주는 재미있는 인포그래픽입니다. 우리나라의 상황과는 조금 관련성이 떨어지는(?) 사건과 이슈들이 더러 눈에 보이지만, 한눈에 어떤 변화들이 있었는지 되짚어보기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중요한 변화였는데 빠진 것들이 있다면, YouTube의 전면 개편과 Google +와의 연계 강화 Facebook의 뉴스피드 알고리즘 변경과 브랜드 페이지의 전반적인 reache 감소 인스타그램의 성장과 광고 상품의 도입 네이버 Line의 사용자 3억명 돌파 Twitter와 생중계 TV 방송의 연계 활용 확대와 트위터 광고 확장 소셜 미디어 상의 위기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갑의 횡포’논란 Google Analytics 개편과 통합 지표 관리의 중요성 등이 생각납니다. 이번 참에 찬찬히 “우리나라의 2013 소셜 미디어… 계속 읽기 »[Infographic] 한눈에 보는 올 해의 소셜 미디어 이슈 2013

최근 위기관리 사례 분석의 종합판 – The Lab h “그들은 과연 쿨하게 사과했을까?”

올해 들어 유난히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위기”라고 부를만한 사건들이 눈에 띄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보이지 않던 것들이 수면 위로 드러나게 되었다는 표현이 맞을 수도 있는데, 그 저변에는 “소셜 미디어 혁명”이라고 불러야 할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한 몫을 단단히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제는 “소셜 미디어”라는 미디어의 변화가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의 구조가 본질적으로 달라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뉴스”라는 것을 선별하고, 거르고 정제하는 기능을 담당하던 “저널리즘”이 점차 지배적 힘을 잃어가고, 이전 시대에는 “깜도 안 되는” 동네 소식, 주변 이야기, 가십 같은 것들이 사람들의 입을 타고 직접 전파되어 나가고 있습니다. 더 이상 정보의 흐름을 조절하던 지식 관리자- Gate Keeper -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아니 모든 매체 수용자와 소비자들이… 계속 읽기 »최근 위기관리 사례 분석의 종합판 – The Lab h “그들은 과연 쿨하게 사과했을까?”

Dialogue with Marshal McLuhan

마샬 맥루한과의 대화 – 정보 사회학 페이스북 메모

윤영민 교수님이 정보사회학 페이스북 페이지에 참여하는 페친들과 함께 만든 대화의 비망록을 이라는 책으로 엮어내셨습니다. Marshall McLuhan과의 대화는 가상 인터뷰 방식으로 맥루한의 미디어 통찰을 오늘날의 소셜미디어 지형을 읽는 지침으로 끌어내온 담론입니다.

Social media revolution and Democracy

환영 받지 못하던 변화 민주주의, 그리고 소셜 미디어 혁명

민주주의라는 제도는 준비되지도 환영받지도 못하던 급격한 변화였다. 오랫동안 응축된 힘이 세상을 바꾸는 동력이 되기까지 몇백년의 시간이 필요했다. 소셜 미디어는 그 균열을 순식간에 우리 앞에 가져다 놓았다. 이런 방식의 변화를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